태권도 교육의 특징과 태권도 교육의 중요성
태권도 교육은 어떤 특징이 있고, 왜 중요한지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태권도의 특징으로 몸과 마음을 병행하여 수련한다는 말은
단순히 신체 수련뿐만 아니라 기법수련과 함께 정신수양을 통해서
인격을 형성한다는 의미가 있다.
https://docs.google.com/spreadsheets/d/19F94ooSv82KKGDd5Oxc2IfIIXo9b70ftEIhOh5859CQ
다시 말해서 신체 수련은 물론, 인격교육까지도 함께 한다는의미이다.
태권도는 다른 학문의 영역처럼 지식 또는 정신적인 교육, 신체적인 교육뿐만 아니라,
인격체 완성에 주안을 두고 교육을 하고 있다.
태권도는 자기교육이며 자력 교육이다.
자기교육이란 본능적인 인간의 자기 보호 욕구, 환격에 적응하고 조정하는
이성적 동기로부터 신체적 기능과 생리에 맞도록 정신을 수양하고 신체 동작이
체계화된 후천적 행위를 의미하는 것이다.
태권도 교육은 정신집중, 기법수련을 반복 숙달해야 한다.
반복되는 수련 속에 심신 단련의 습관이 형성될 것이고, 수련 경험을 통해서
태권도 외적 경험 상호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다.
https://docs.google.com/spreadsheets/d/1UaYlxMcnnKpEQ516VfALI0iuVbm8PxtCp9f2GTzi-1w/edit?usp=sharing
그러므로 또한 태권도 교육은 행동의 결과, 사고력이 상호작용함으로써
경험과 지식이 성립되면서 경험 교육의 특징을 찾을 수 있다.
태권도 수련을 올바르게 실천하기 위해서는 우리 인체의 생리학적인 현상을 이해해야 한다.
우리의 신체는 하나의 운동은 대뇌를 비롯하여 신경, 근육 등 생리적인 기전에 의해
균형, 역 귀환 작용, 항상성으로 항정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태권도는 맨몸과 손으로 하는 것으로 순간적인 동작과 지구력을 요구하는 기법 등은
매우 복잡하고 다양한 신체운동이 필요하다.
그래서 근육과 신경이 서로 조정하고 조율 작용을 발달시키고,
순간적 기술로 목표에 강한 힘을 주는 동작으로 인해서 속도성, 정확성, 조화성,
강인성 능력을 육성할 수 있다.
태권도는 몸 전체의 무도라고 할 수 있어서, 인체 내의 호흡기 순환계통의 기능을
활발하게 함으로써 신진대사를 원활하게 순환시키고 있으며,
특히 호흡계통의 기능을 강화해 주고 있다.
https://docs.google.com/presentation/d/1cgpZEl7Tq4Vxbpae9F2_CWYAqF0t4muqHowyNZKgUlk/edit?usp=sharing
몸 전체의 근육을 움직이게 활동하게 하고, 신속 정확한 공방(攻防)의 판단과 실천을 위해서
신경계의 조화로운 기능이 요구되며, 강화함을 그 특징으로 들 수 있다.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다. 혼자만이 살아갈 수 없다.
태권도는 수련생의 사회성 향상에 도움이 된다.
타인과 더불어 살아가기 위해서는 사회적 욕구나 성향을 갖추어야 한다.
태권도는 수련생들이 수련을 통해서 자신을 통제ᆞ인내하는 법을 배우고,
타인과의 사이에 정해진 규칙을 준수하는 방법을 습득함으로써 더불어 살 수 있는 삶의
기회를 배울 수 있다.
https://docs.google.com/spreadsheets/d/1HR1lYGT1xQfT2qFe6iM7bf5drmRjFEpTiUi9M_yit7k/edit?usp=sharing
IT의 발달로 인터넷과 게임에 많은 시간을 보내는 요즘 아이에게 사회성 발달은
매우 중요한 과제이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태권도의 단체생활을 통해
사회성을 기를 수 있다.
태권도 수련생들은 도장 안에서만 지켜지는 질서와 규칙을 준수해야 한다.
도장은 수련생 모두가 사용하는 공간이기 때문에 개인적인 성향에서 벗어나
단체생활로서 무엇보다도 시간을 엄수하고, 남과의 약속을 지키는 법을 배운다.
이를 지키는 것은 단체생활에서 가장 기본적인 규칙을 지키는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단체생활에서는 예의를 지키는 것이 필요하다.
자신부터 상대방을 배려함으로써 상대방으로부터 자신도 배려를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수련의 과정을 통해서 남을 이해하는 관용의 자세를 체험하고 배울 수 있는 것이다.
상대방을 배려를 위해서는 자신의 작은 것부터 양보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자신이 양보를 위해서는 자기 생각과 욕구를 자제하는 방법을 알아야 하고,
자신을 극복하는 극기와 자제를 깨우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태권도는 수련생의 사회성을 향상하게 시키는 데 도움이 되는 것을 가르치고 있다.
도장에서도 사범이 학부모와의 상담에서 태권도는 사회적인 운동이라고 이야기하고 있다.
태권도 수련은 개인 혼자서는 절대 터득할 수 없다.
도장에서 사범과 선후배 동료가 하는 동작을 함께 함으로써 기술을 터득하면서
수련해 나가는 것이다.
태권도는 수련하면서 자칫 난폭할 수 있는 행동을 도장의 규칙과 사범의 가르침,
스스로 수양과 인내심으로 정화해 나가는 과정을 통해서 진정한 인성을 배우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