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생활체육지도자의 정의와 성격 및 기능과 역할

우리나라 장애인체육은 2005년도 주무부처를 문화체육관광부로 이전하고 난 뒤로 

많은 발전과 변화가 이루어졌다. 

2005년 7월 국민체육진흥법 개정으로 인하여 당시 보건복지부가 

장애인체육 업무를 담당하다가 문화관광부에 장애인체육과가 신설되었으며, 

대한장애인체육회를 시작으로 전국 시·도장애인체육회가 차례대로 신설됨으로써 

장애인체육의 제도적인 기반과 조직이 구축되었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장애인체육에 관한 사업은 대한장애인체육회를 통하여 

중추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대한장애인체육회는 전국의 시·도 장애인체육회를 통하여 장애인생활체육사업을 

배분·지원하여 전국적으로 장애인생활체육 보급 및 활성화가 되도록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그리고 전국의 시·도 장애인체육회에서는 찾아가는 생활체육서비스팀을 신설하여 

장애인의 생활체육 초기접근은 높이기 위하여 지도자 배치 및 이동서비스, 상담, 

홍보 등 활발하게 지원하고 있다.

위와 같이 시·도장애인체육회에서는 찾아가는 생활체육서비스팀의 한 일원으로 

장애인생활체육지도자가 있다. 장애인생활체육지도자가 되기 위해서는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이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자격 요건을 갖춘 사람으로서 

체육지도자 자격검정에 합격하고 장애인생활체육지도자 연수과정을 이수한 

사람이여야 한다. 

현재 전국에 장애인생활체육지도자는 855명이 있다.

장애인생활체육지도자의 정의와 성격

장애인생활체육의 저변화와 활성화를 위해서는 생활체육의 시설 조직, 지도자, 

프로그램에 대한 올바른 인식이 요구되지만 생활체육의 활동, 유지, 발전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은 지도자라 할 수 있다.

비장애인 생활체육지도자를 정의함에 있어 체육문화를 선도하고 보급하는 주체로서 

체육에 대한 국민의식을 긍정적인 방향으로 인식되어지도록 유도하여 국민들이 

생활체육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역할을 담당하는 

사람이라고 하였다. 

그리고 단순한 스포츠 기술지도 뿐만 아니라, 체육에 관한 전문 지식의 전달, 

운동처방, 구급처리 및 안전관리, 체육시설의 운영관리, 생활체육 클럽조직의 운영,

생활체육 프로그램 개발 등의 역할수행을 하는 자로 정의하였다. 

위와 같이 장애인생활체육지도자는 비장애인생활체육지도자와 같은 목적을 갖되 

장애인의 유형과 특성을 고려하여 생활체육프로그램을 계획 및 운영 하여 

운동경험의 기회를 제공하여 심동적·인지적·정의적 향상을 가져 올 수 있어야 한다.

장애인생활체육지도자의 기능과 역할

장애인생활체육지도자의 중심적인 기능으로는 장애로 인하여 일상생활 중에 

체육활동을 참여 및 경험해보지 못한 인원들이 장애인생활체육지도자를 통해 

일상생활 속에서 자발적인 체육·스포츠 활동의 생활화를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다. 장애인들이 생활체육에 참여시키려고 하면은 운동장소, 운동용품과 같은 시설 

그리고 생활체육 참여자에 맞는 프로그램, 

이를 전문적으로 지도 할 수 있는 지도자 위 3요소가 잘 이루어져 있어야한다. 

위와 같은 요소가 잘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지도자의 역할이 중요하다. 

지도자는 스포츠 활동 시설과 용구를 충실히 정비하며 동시에 장애인의 욕구에 맞는 

다양한 체육 프로그램을 계획하여 각종 교실, 동호회, 클럽의 활성화에 대한 역할을 

잘 수행하여야 한다.

By fonuder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