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생활체육지도자들의 근무환경과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
근무환경
장애인생활체육지도자 종사자들은 자신의 근무 환경에서 장애인 관련기관, 복지시설,
특수학교, 단체 생활체육 프로그램 운영, 장애인생활체육상담 업무와 교실,
동아리, 클럽 등의 신설 및 관리 등의 업무를 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근무환경은 근무 내에서 이루어지는 환경으로, 학자마다 주관적이고
다양하게 정의를 내리고 있다.
https://groups.google.com/g/reelancer-graphic-and-web-designer
근무환경을 조직구성원들의 경험과 행동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특성들의
총체이며, 조직특성이라는 관점에서 설명 할 수 있는 내적, 외적 조건의 총체를
나타내기도 하는데, 그 조건에는 물리적인 배치, 참여자들 간의 상호작용 방식,
고객이나 외부인을 대하는 행동에 대한 느낌, 보수, 근무조건, 근무자의 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하는 환경 등이 포함된다.
근무환경을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근무환경은 직무와의 관련성에 따라
크게 내재적과 외재적으로 구분한다. 내재적으로는 개인적 성장기회, 인정, 승진기회,
책임, 성취 등과 같은 직무만족과 관련되어 있다. 외재적으로는 급여, 타인과의 관계,
물리적 환경, 고용안정과 같은 직무불만족과 관련되어 있다.
직무만족
직무만족은 자신의 직무와 그 환경에 대해 가진 정서 상태 또는 직무로부터
유래되는 욕구충족의 정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직무과업, 작업여건, 동료 관계 등의
여러 측면에 대한 개인의 긍정적 혹은 부정적 느낌을 말한다.
조직 구성원들은 직무만족이 높을수록 조직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자발적으로 협조하고,
조직과 상사에 충성하며, 조직이 어려움에 직면했을 때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노력한다.
또한 높은 직무만족은 자신의 직무에 흥미를 갖게 하여 규칙을 준수하고,
조직에 대한 애착과 소속감을 가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성원의 신체적, 심리적 건강을
증진시켜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가정생활과 여가생활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단체의 조직원들이 직무만족에 만족을 하면 이로 인해 단체의
중요한 원동력이 될 수 있다.
https://sites.google.com/view/full-web-stacker/
직무만족의 결정요인으로 상사의 감독, 사회적 환경, 의사소통, 직장의 안정성,
보수 등을 제시하였다.
송영신과 이미영은 직무내용, 보수, 승진, 복리후생, 상사의 감독을 포함시켰다.
그리고 직무내용, 승진, 조직의 성격, 근무 조건, 동료를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보았다.
따라서 직무만족은 급여, 안정성, 복리후생, 사회적 환경 등의 근무환경 요인과
상관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직의도
이직과 이직의도는 결과적인 측면에서 다른 개념이다. 이직의도는 조직구성원이
조직을 이탈하려는 행동이나 태도를 말하는 것으로, 이직에 대한 의사결정의
마지막 인지적 단계로 여겨진다.
조직 구성원이 형성하고 있는 이직에 관한 의도가 실제 이직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이직의도는 이직을 설명하는 가장 강력한 예측 변수라고 할 수 있다.
장애인생활체육지도자 종사자들은 잦은 이직과 동종업계 및 기관으로 이동이
많은 특성을 가지고 있다.
조직과 개인의 관계에서 볼 때 조직은 보다 유능한 구성원을 확보하려 하고,
개인은 자신의 욕구를 가장 많이 충족시켜 주는 조직을 선호하게 된다.
이러한 관계가 서로 균형을 이루지 못할 때, 조직 구성원의 이직이 발생하게 된다.
즉 개인은 이직을 통해 보수, 승진 등의 근무환경 수준이 낮은 곳에서 높은 곳으로
이동하려 한다.
이직의사를 결정하는 요인은 자발적 요인과 비자발적 요인으로 구분된다.
자발적 요인은 보수, 승진, 건강, 정년퇴직 등이 있고,
비자발적 요인은 강제퇴직, 인사이동 등이 포함된다.
자발적 요인을 감소시키는 것은 이직 의도를 감소시키는 것이며,
이는 조직을 효율성 있게 운영하는데 기여하며 또한 조직의 안정성을 가져올 것이다.
그러나 장애인생활체육지도자 종사자들은 채용 후 근무환경과 직무만족도가 낮아
장기근속이 아니라 단기근속이 많고 몇 년이 지나면 다른 곳으로 이직을 많이 한다.